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봄블리 일상

by BomBely 2023. 5. 9. 15:37

본문

청소년교육과를 전공한 이후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보지 못한지 좀 오래되었당
 
그러다 핫했던 '더글로리' 드라마를 정주행 하면서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영향에 대해 공부해보고 생각해보았다!
 

Pixabay

 

청소년들은 친구나 또래들을 통해 도덕적 판단과 가치들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인지적․사회적 자원을 얻는다.
 
청소년들은 주로 또래집단을 통해 사회적 대인관계를 배우고,
그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할 수 있는 사회적 역할을 시연하기도 한다.
 
사회적인 성향이 있는 또래들은 타인을 배려하는 행동 등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의 모델이 되기도 하고
이러한 행동을 강화시키기도 하지만,
일탈성향이 있는 또래는 반사회적이고 자기 파괴적 행동을 통해 부정적인 행동을 야기 시킨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또래의 영향은 주로 긍정적이다.
 
 

Pixabay

 

  •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경험은 사회적 인지발달을 촉진시킨다.
  • 주위로부터 사회정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통해 안정된 정서를 갖게 도와준다.
  • 그리고 또래집단 안에서 스스로 경험하여 또래의식을 배울 수 있으며 미래의 삶의 선택에 큰 영향을 준다.
  • 청소년들은 친구관계를 통해 집단을 형성하고, 그 집단 안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을 이해한다.
  • 또래집단 내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신뢰감을 학습하고 사회적 기술 발달을 촉진시킨다.
  • 또한 그들만의 공통된 의식을 배우며 장래희망, 취미, 자신만의 철학 등을 가지게 됨으로써 미래에 큰 영향을 준다.
  • 긍정적 영향은 이밖에도 충고를 주고받으며 가치 있는 소유물을 공유함으로써 안정감을 느낀다.
  • 스스로의 가치관이 형성되면 서 정신적 의존 관계에 있던 부모와의 종속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자아형성을 추구하려 한다.
  • 비슷한 고민을 가진 또래들과 서로의 고민을 공유하고 위로와 충고를 통해 위안을 가지게 되고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친구관계, 또래관계는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겠다.
 
반면, 친구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만만치 않다.
 

  • 또래관계 안에서 무시 혹은 배척의 경험을 하게 된다.
  • 환경, 성격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또래에 의해 거부되거나 무시당하는 것은 청소년을 외롭고 적개심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 거부와 무시의 정도가 심해진다면 정신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왕따, 자살, 학교 내 폭력 등 여러 문제들의 연관성을 가지게 될 수 있게 된다.
  • 무시와 배척을 피하기 위함도 있지만 학교 내 성적 또는 지위와 인정을 얻기 위한 경쟁이 불가피하다.
  • 청소년들은 또래관계의 경쟁을 통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특히 한국청소년의 우울수준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